산업카운슬링 자료실

  HOME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자료실

작성자    : 노영기 작성일 2020-05-24
제목 산업재해 환자의 고통 감내력이 심리적 수용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조회수 3952
첨부파일  
첨부파일  

 

저자 신현숙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  

     

    본 연구는 산업재해 외상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역경을 견뎌내고 부정적 심리적 정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고통 감내력, 심리적 수용, 외상 후 성장, 희망 간의 영향과 매개를 검증하여 상담적 치료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산업재해를 경험하고 근·골격과 척수손상으로 진단을 받고 입원 치료 중인 환자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8년 8월 1일부터 5일간 예비조사를 거쳐 9월 15일부터 10월 10일 까지 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고통 감내력, 심리적 수용, 외상 후 성장, 희망을 측정하는 구조화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고통 감내력은 Simons 등(2005)이 개발하고 박성아(2010)가 번안 및 타당화한 고통 감내력 척도( DTS)를 사용하였다. 심리적 수용은 Hayes 등(2004)이 개발하고 허재홍, 최명식과 진현정(2009)이 번안한 한국어판 수용-행동 질문지 Ⅱ(K-AAQ-Ⅱ)로 측정하였다. 외상 후 성장은 Tedeeschi & Calhoun(1996)이 개발하고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와 김교헌(2009)이 번역하여 재구성한 한국어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손상부위에 따른 변인별 차이검증과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피어슨 적률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고통 감내력, 심리적 수용, 외상 후 성장 변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수용,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Sobel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골격 손상 환자가 척수손상 환자가 고통 감내력과 외상 후 성장에서는 척수손상 환자보다는 근·골격 손상 산업재해 환자들이 더 높게 지각하고 있다. 이는 근·골격 손상 산업재해 환자들이 심리적 재활에 대한 의지가 높은 반면 척수손상 환자들은 현재 자신이 감당해야 하는 심리적 고통의 강도가 높으며 심리적 수용과 외상 후 성장에 어려움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근·골격과 척수손상의 산업재해 환자는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수용 외상 후 성장, 희망의 정도 수준은 보통이다. 이는 삶을 긍정적으로 살아가려는 의지이며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셋째, 산업재해 환자의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수용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이는 고통 감내력은 현재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과 행동에 대한 조화를 통해 힘든 상황에 잘 대처 할 수 있는 요소임을 의미한다.
    넷째, 산업재해 환자의 고통 감내력은 심리적 수용과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외상의 고통 감내력이 높으면 부정적 사고보다 삶의 가치를 더 수용하여 자신의 부정적 사고에 대해 방어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외상으로 인한 고통을 이겨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산업재해 환자의 희망은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수용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 산업재해 환자들이 희망을 통해 고통의 경험을 회피하지 않고 수용 하고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산업재해 환자의 외상으로 인한 고통과 역경을 견뎌내는 힘은 심리적 수용과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희망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수용과 외상 후 성장을 높이는데 직접적인 변인임을 밝혔다. 본 연구는 산업재해 환자가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 뿐 만 아니라 삶을 성장하기 위해서는 재활에 대한 희망의 분명한 의지가 우선시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름  :   암호 :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