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카운슬링 자료실

  HOME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자료실

작성자    : 이승관 작성일 2020-04-04
제목 상담 및 심리치료 : REBT 개요 조회수 2067
첨부파일  
첨부파일  


상담 및 심리치료 : 합리적 정서적 행동 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 


 


1. 의의 


가. 인간이해 핵심 3가지 영역 : 인지(cognition)-정서-행동치료(Albert Ellis) 나. '인지(cognition)'란 용어는 태도, 기대, 귀인 등의 포괄적인 인지적 활동과 지각 체계를 모두 포함 다. 인지활동 : REBT는 인간의 행동을 예언하고 산출하고 이해하는 데 핵심 라. 흐름 합리적 치료(Rational Therapy, 1955)->합리적 정신적 치료(Rational Emotive Therapy, 1961)->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REBT, 1993) 


 


2. 요건 


가. REBT인간관 나. 심리적 과정에의 상호작용과 인지의 위치 다. 심리적 장애 라. 신념(합리적, 비합리적) ※합리적 사고 vs. 비합리적 사고 논리성 : 논리적 모순 無 / 多 현실성 : 경험적 현실과 일치/불일치 실용성 : 삶의 목적 달성에 도움/방해 융통성 : 융통성 유연/절대적 극단적 경직성 파급효과: 적절한 정서와 행동에 영향/부적절한 정서와 부적응적 행동 유도 


 


3. 원칙 


가. 인지는 인간정서의 가장 중요한 요소 나. 역기능적 사고는 정서장애의 중요한 결정 요소 다. 생각하는 것을 느끼기 때문에 정서적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먼저 사고의 분석부터 시작 라. 유전적이고 환경적인 영향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들이 비합리적 사고와 정신병리의 원인 마. 행동에 대한 과거의 영향보다는 현재에 초점을 맞춤 바. 신념은 변화->불합리한 신념은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에 의해 바뀔 수 있음 


 


4. 치료방법 


자기관심(self-interest) 사회적 관심(social interest) 자기지향(self direction) 관용(tolerance) 융통성(flexibility) 불확실성의 수용(acceptance of uncertainty) 몰두(commitment) 과학적 사고(scientific thinking) 자기수용(self acceptance) 위험 감수(risk taking) 非 이상주의(nonutopianism) 


 


이승관 기업경영전문가(경영지도사, 경영학박사) 산업카운슬러 1급 과정 


이정문 cognition은 인간 정서의  출발점임 이를  분석하기위하여   인간  사고의  조직에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인간의 성장환경 유전적 영향등도 고려해야하나, 자신의   변화를 일으킬수있는 여러가지  치료방법을 도입하여  불필요한  신념이 변화될수있도록 노력함  
[ 2020-05-05 ]
     이름  :   암호 :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