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자료실
작성자 : | 김경화 | 작성일 | 2019-02-03 |
---|---|---|---|
제목 | 마음챙김 명상[ mindfulness meditation ] | 조회수 | 6242 |
첨부파일 | |||
첨부파일 | |||
최근 구글 등 유명한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마음챙김 명상에 대해서 찾아봤습니다. 1. 개요마음챙김 명상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남방 불교권에서 2000년 넘게 수행되던 명상법이다. 현대에 들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스트레스 관리나 자기 수양의 목적으로 받아들였고 인지행동 치료에도 적극적으로 응용하고 있다. 마음챙김은 ‘순수한 주의’라는 특수한 방식의 주의(attention)이다. 생각과 욕구를 개입시키지 않고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바라보기만 하기 혹은 비판단적으로 바라보기라고도 표현되며, 전통적으로 불가에서는 ‘분별심을 내지 마라’는 방식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2. 스트레스와 명상마음의 고통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아무런 왜곡 없는 순수한 마음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초월(transcendence)이라 하며 이를 실천하려는 것이 명상(meditation)이다(장현갑, 강성군, 2003). 초월 또는 명상을 심리학적으로 연구하려는 시도가 무아 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이라는 제4세력의 심리학을 탄생시켰다(윤호균, 1995). 초월에는 절대적∙형이상학적 의미와 상대적∙경험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3.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마음챙김은 ‘순수한 주의(bare attention)’라고도 부르는 특수한 방식의 주의이다. ‘생각과 욕구 없이 바라보기’란 주의의 대상에 생각과 욕구를 개입하지 않고 주의를 주는 것으로, 심리학적 용어를 사용한다면 ‘인지와 동기’를 개입하지 않고 주의하는 것이다. 이런 주의는 ‘단지 바라보기’, 혹은 ‘비판단적으로 바라보기’라고 표현되기도 하며, 전통적으로 불가에서는 ‘분별심을 내지 마라’는 방식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생각과 욕구 없음’ 혹은 ‘인지와 동기를 내려놓음’이라는 것은 말은 쉬워도 실제로 그 상태를 이해하거나 느끼는 것은 쉽지 않다. [네이버 지식백과] 마음챙김 명상 [mindfulness meditation]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94121&cid=41991&categoryId=41991
|
|
![]() |
이전글 | 회복 탄력성 "resilience" [1] | 2019-02-03 |
![]() |
다음글 | 현실요법 관련-1 | 201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