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카운슬링 자료실

  HOME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자료실

작성자    : 차승민 작성일 2022-07-12
제목 최고의 선수와 사업가가 최고의 멘토가 되는 것은 아니다. 조회수 2823
첨부파일  
첨부파일  

 살다 보면 그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에게 받은 조언보다 오히려 의외의 사람에게서 받은 조언이 더 도움이 되고 실제로도 자신을 향상시키는데 더 큰 도움이 되는 경험을 종종 하게 된다. 하지만 사회와 조직은 대부분 그 분야에서 최고가 되었거나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의 이야기에서만 주로 배우려고 한다. 그렇다면 어떤 말이 맞는 것이고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매우 절묘한 연구 한 편이 최근에 발표되었다. 하버드대 경영대학의 심리학자 데이비드 레바리 박사가 그의 스승인 댄 길버트 교수와 함께 공동 연구한 결과이다. 연구진은 일단 1013명의 참가자들에게 주어진 알파벳 3~4개를 가지고 단어를 만들어내는 이른바 단어 스크램블 과제를 하게 하였다. 이 과제를 선택한 이유는 개인차 즉, 과제 수행 점수가 참가자들 간에 매우 큰 폭의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게임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거둔 상위 그룹과  그렇지 못한 중위권 그룹이 선발된다.

 

 이들은 각각 이후의 새로운 참가자 2000명에게 어떻게 하면 단어 스크램불을 잘 할 수 있는지 조언하도록 했다. 이 참가자들에게는 자신이 어떤 그룹의 조언을 받고 있는지도 알려줬다. 지침은 분명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다. 상위든 중위든 이전 참가자들로부터 조언을 받은 사람들의 점수가 게임의 횟수가 더해지면서 더 빠르게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몇 가지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자신에게 조언을 해 준 사람이 상위권 그룹이라고 알고 있는 참가자들이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더 큰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했다는 것이다. 어느 그룹의 조언이든 참가자들의 수행 향샹에 동등한 정도의 도움을 주었는데도 말이다. 즉, 잘하는 사람으로부터 받은 조언은 그 효과가 상대적으롤 과대 평가된다는 셈이다.

 

 둘째, 상위권 그룹의 조언은 중위권 그룹의 조언보다 그 양이 더 많았다. 따라서 조언을 받는 쪽은 질보다 양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그래서 연구진은 상위권과 중위권 그룹의 조언을 좀 더 면밀히 분석했다. 상위권 그룹의 조언은 더 독특하면서도 구체적이었다. 그래서 양도 많았던 것이다. 반면 중위권 그룹의 조언은 매우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내용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결국 이런 결론이 가능하다. 최고의 전분가로부터 받은 구체적인 조언으로 일이 잘 풀렸을 경우에는 사람들이 그것을 매우 잘 기억하지만, 평범한 전문가로부터 받은 조언으로 긍정적 결과가 나올 경우에는 이를 상대적으로 덜 기억하며 따라서 평가절하하기 쉽다는 것이다.

 

 이는 해당 분야에서 최고 전문가가 가르쳐 줄 수 있는 것과 그렇지는 못 하지만 근복적이고 핵심적인 것을 가르쳐 줄 수 있는 사람 모두가 다음 세대에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 두 그룹의 조언을 모두 받은 참가자들이 최고의 점수를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자의 공이나 역할을 자주 잊고 평가절하하게 되면 조직이 그만큼 덜 배우게 된다는 것을 분명해진다. 그러므로 더욱 분명해 지는 것은 최고의 선수나 사업가가 최고의 멘토가 된다는 것은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김경일의 CEO심리학 중에서 발췌

 

 

 

 

 

 

 

 

 

 

 

 

 

 

 

 

 

 

 

 

 

 

 

 

 

 

 

 

 

 

 

 

  


김인남 최고의 선수와 사업가가 성공의 엔토, 실패의 멘토가 될 수 있기때문에 멘티가 멘토의 어떠한 것에 기준을 세우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 2023-10-23 ]
     이름  :   암호 :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