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작성자 | 김정빈 | 작성일 | 2023-02-11 |
---|---|---|---|
제목 | 퇴직통보를 받은 임원을 만나며 | 조회수 | 1005 |
첨부파일 | |||
퇴직통보를 받은 임원을 만나며: 홀로서기 역량에 관하여-- 1. 얼마전, 퇴직통보를 받은 대기업 임원 후배가 찾아왔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분노, 허탈, 후회, 불안 등의 감정이 섞여있었다. 공황 장애 증상까지 있었다. 수십년간 충성을 다했던 회사에서 갑자기 퇴직통보를 받으니 그런 감정에 휩싸이는 것은 당연한 현상일수 있다. 2. 나도 젊었을때는 대기업 임원들이 참 대단해보였다. 아우라도 있고 매우 똑똑해보였다. 평균적으로 사원들 100명 중 한명 정도가 된다는 임원들이기에 대단해보였고 그들 앞에서 발표하려면 긴장이 되었다. 큰 딜의 결정권을 가진 그들의 질문이나 반응 하나 하나에도 의미를 부여하고 일희일비했다. 3. 나이가 들고보니 과거 어렵게 보았던 그런 임원들이 이제 참 평범해보인다. 물론 똑똑함과 성실함으로 훌륭한 경영을 하기도 하고 사업을 턴어라운드 시키며 회사를 위해 큰 공헌도 하지만, 이면은 한해한해 성과에 예민하며 주위 평가도 신경써야 하고 인사권자 눈치를 보며 제너럴리스트로서 노후 걱정하는 평범한 사람들이다. 4. 인사철이 되면 퇴임 임원들은 빠르게 짐을 싸서 나간다. 기업의 업종에 따라 빠른분들은 40대 중후반, 늦어도 50대 중후반이면 대개 퇴임이 이루어진다. 어느 기업이건 승진 임원 숫자만큼의 퇴진이 되기에 승진잔치가 벌어질수록 숨은 퇴임자가 많다. 5. 예전에 한 지인에게 들은 이야기이다. 유명하셨던 S그룹의 부회장님이셨다. 그 분과 30분 스케쥴이라도 잡으려면 한두달은 예사로 기다려야 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분이 퇴임하시고 고문으로 옮기게 되었다. 이때 이 지인분이 비서에게 연락해서 조심스럽게 한달 뒤쯤에나 약속을 잡을수 있는지 물었다고 한다. 그러자 비서 왈 "다음주도 다 비어있습니다." 현직이나 퇴직이냐를 기점으로 수 많은 스케쥴이 밀물같이 왔다가 썰물처럼 사라지는 것이다. 평소 만나자는 수많은 사람들도 다 사라진다. 6. 사람들은 임원이나 고위직 권력자들 자체를 존경하거나 만나고 싶어하는 것이 아니다. 그가 가진 직위나 직책에 머리를 숙이거나 따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직위와 직책이 사라지는 순간 이와 관련된 관계나 각종 스케쥴은 다 사라지는 것이다. 7. 나는 퇴직 임원들을 많이 만났기에 몇가지 조언을 했다. 1) 회사나 자신을 탓하지 마라. 당신의 잘못도 회사의 잘못도 아니다. 원래 임원직은 임시직이며 책임지는 자리다. 임원은 매년 올해가 마지막일수 있다는 마음을 가질수 밖에 없다. 2) 한참 쉬었다가 일을 구할 생각을 하지 마라. 현업에서 떠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자신의 가치가 낮아진다. 3) 숨지말고 가능한 여러 사람들을 만나라. 사람을 만나야 기회가 생긴다. 4) 헤드헌터들과 적극 커뮤니케이션하라. 5) 집에 있지말고 매일 출근하라. 무언가 배우든 책을 읽든 운동을 하든 루틴을 가져라. 8. 퇴임하시고도 활발히 활동하는 분들도 간혹 계시다. 이런 분들의 공통점은 현직에 계실때 주위 사람들에게 많이 베푸시고, 퇴임 후 무엇을 할지 미리 준비하고 설계를 해놓으신 분들이다. 이런 분들은 '직'에 빠져있지 않고 '업'을 만드신 분이다. 이에 직책이나 직위가 사라져도 홀로서기가 가능하다. 9. 얼마전 독일,중국, 싱가폴 등에서 일하고 있는 50대 한분을 만났다. 그분은 지금도 노트북 하나로 어디서든 직접 자료를 만들고 전문성을 발휘하며 디지털 노매드로 일한다. 그분이 한국에 와서 대기업에 다니는 동기를 만났는데 깜짝 놀랐다고 한다. 왜냐고? 그 친구가 문서조차도 스스로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직원들을 시키기만하다보니 스스로 할수 있는 능력이 다 퇴화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임원들이 문서를 만들고 직원일을 대신 하라는 의미는 아니다. 임원은 임원의 일이 있다. 단지, 시키더라도 자신의 지력, 인사이트가 분명해야 한다. 10. 나도 그렇게 될까봐 지금도 중요 기획, 프레임웍, 중요 발표자료들은 내가 직접 손으로 스케치한다. 물론, 스탭 훈련을 위해서나 내가 생각지 못한 부분이 있을까 지시는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중요한 것이라면 동시에 나도 내 구상을 작업한다. 가져오면 비교하여 피드백한다. 책이나 개인적 강의 자료 등은 당연히 내가 직접 워드나 파워포인트로 다 만든다. 이렇게 sns에 직접 꾸준히 글을 쓰는 이유 중 하나도 이 때문이다. 11. 지금은 100세 시대이다. 회사에서 아무리 잘 나간다 할지라도 50대를 넘기기 어렵다. 자신의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항상 준비해서 언제든 홀로서기를 할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할 필요가 있다. |
|
![]() |
이전글 | 열정과 끈기가 없는것이 축복일수도 있다-- | 2023-02-11 |
![]() |
다음글 | 어떤 관점으로 직장생활을 할까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