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7ST소통훈련
7ST교육후기
작성자 : | 오진택 | 작성일 | 2024-05-17 |
---|---|---|---|
제목 | 7ST 교육후기 | 조회수 | 1240 |
첨부파일 | |||
첨부파일 | |||
5/11~12일에 진행한 7ST 교육을 받고 느낀점입니다. 먼저, '신뢰'라는 추상적 개념이, 상호간에 합의된 신호 또는 규칙의 수행을 통해 적립되고 이를 기반으로 자가발전하는 구체적인 경험으로 다가왔습니다. 인도자는 말을 못하고, 추종자는 눈을 뜨지 못하는 상황에서 인도자가 추종자를 인도하는 실험을 통해 (1)실험전 수립한 신호체계의 정교함과 (2)실제상황에서, 약속한 신호의 정확한 수행이 필수적이고 (3)위기 내지 돌발상황에서도, 완벽하진 않지만 신호 기반 소통은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고, 두번째 실험(1인도자+2추종자)에서는 신호체계와 수행이 스스로 발전하여, 완전한 돌발상황에서도(사전 합의된 신호와 적립된 경험이 전혀 없는) 의사소통이 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뢰라는 무형의 가치를 현실로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두번째로, out of box thinking을 통해 세상을 보는 시야를 넓히게 되었습니다. 나쁜사람 5인의 순위를 매기는 과제는, 상자안에서의 생각만으로는 논리력 경쟁 뿐이었지만, 상자밖에서 생각을 하게 되면서(제가 그런 생각을 한 것은 아니고, 우리팀원분들의 혜안이었음) 상자안에서의 지리멸렬한 논쟁을 끝내고, 모두를 위한 최선의 결과를 도출해 냈습니다. 상자밖의 생각은 상담가로서도 필요한 소양이지만,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꼭 필요한 도구라고 생각했습니다. out of box thinking을 이십년 이상 여러사람과 상황을 통해서 보고 들어왔지만, 이처럼 생생한 경험은 처음이었습니다. 이 과제를 제시해 주신 원장님과 out of box thinking의 진수를 보여주신 우리팀원분들께 감사와 존경을 표합니다. 세번째는 expectation management의 중요성입니다. 과정을 시작하기전에, 저는 본 과정에 대한 기대수준이 최대치로 높아져 있었습니다. 과정의 구성과 전개, 그리고 실 사례 등에 관한 자세하고 생생한 설명을 들었기 때문이죠. 전반적으로 교육과정이 제 기대치를 충족시키는 하였으나, 기대를 뛰어넘기에는 제가 가졌던 기대가 너무 높고 컸었던 것 같습니다. 상담자-내담자 관계에서도, 내담자는 큰 기대(본인의 심리에 관한 문제를 몇차례 상담을 통해 해결할수 있겠다는)를 가지고 올 가능성이 높은데, 상담초반에 내담자의 기대수준을 잘 관리하면서 신뢰를(첫번째로 언급하였던 상호간 신호나 규칙의 이행에 따른 작은 신뢰감들의 적립과정) 쌓아가야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인 상담이 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
![]() |
이전글 | 7ST감수성훈련 교육후기 | 2024-05-25 |
![]() |
다음글 | 7ST 감수성그룹다이나믹스 워크 | 2024-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