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산업카운슬러
작성자 : | 박미정 | 작성일 | 2021-06-16 |
---|---|---|---|
제목 |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4가지 방법 | 조회수 | 753 |
첨부파일 | |||
첨부파일 | |||
학습이론은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생물학적 요인보다는 환경적 요인을 더 강조한다. 학습이론가들은 개인의 인생에서 얻게 되는 학습 경험이 인간 발달에서 변화의 근원이라고 믿는다. 따라서 환경을 재구성함으로써 새로운 학습 경험을 하게 되면 발달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학습이론가들은 정신분석 이론의 내면의 감정을 연구하거나, 인지발달 이론의 인지적 사고를 연구하는 것보다 직접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는 행동을 연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보는데 이런 의미에서 학습이론을 ‘행동주의’라고 한다.
“복잡한 행동의 패턴은 분화적으로 강화에 의해 서서히 학습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전체적으로 학습된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은 사회적 환경과 인간의 인지, 행동 능력이 학습과 발달에 미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행동, 개인적인 요인, 사회환경들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즉 서로가 맞물려서 결정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의 행동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인간 역시 사회적 환경과 그들의 일상적인 사건에서 발생하는 다른 상황들을 창조하는 ‘상호결정론’ 입장에 근거하여 그의 사회학적 학습이론의 입장과 인간의 본성을 설명하고 있다.
*자기효능감( Self- efficacy)
반두라는 사회학습이론에서 자기효능의 역할을 강조해왔다. 반두라는 인간이란 감정, 사고,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자기반영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는데 가장 강력한 자기조절 과정의 하나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을 들었다.
자기효능감이란 자신이 어떤 일을 잘해낼 수 있다는 개인적 신념이다. 자기효능에 관한 지각은 개인이 추구하거나, 피하려고 선택하는 활동에 영향을 미쳐서, 그가 누구인지 그가 무엇이 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가령 자신이 노래에 소질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가수가 되기 위해 노래 연습을 하게 되는 것이다.
자기효능은 사고 양식과 정서들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은 종종 자신의 결점들을 곰곰이 생각하고, 과제가 실제보다 어렵다고 판단하게 된다. 너무나 자주 그런 사람들은 자신의 결점들에 주의를 집중하게 되며, 당면과제에는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게 된다. 이런 경우 집중이 되지 않으므로 실패의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반두라는 자기효능감이 다음의 네가지 요인을 통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①성취경험 어떤 사람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시도한 결과 성공과 실패를 얼마나 했느냐에 따라 자기 효능감이 달라질 수 있다고 한다. ex)운동선수들의 기록 갱신을 위한 많은 훈련 속에서의 성공과 실패등
②대리경험 타인의 성공과 실패를 얼마나 그리고 절실하게 목격했느냐하는 대리 경험에 의해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ex)비록 자신이 참여하지는 못해도 다른 대리인의 모습을 통해 충족을 얻음과 동시에 스스로가 직접 참여하고 해낼 수 있다는 믿음이 고무되는 현상들.
③언어적 설득 타인으로부터 무엇인가를 잘 해낼 수 있다는 말을 얼마나 자주 듣느냐에 따라 자기효능감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 ex)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④정서적 각성 인간은 불안, 좌절등과 같은 정서적 반응 그리고 그것을 적절히 조절하는 능력에 의해서 자기효능감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ex)명상이나 기도, 자기최면을 통한 훈육 등
|
|
|
![]() |
이전글 | 오늘 하루가 가장 큰 선물입니다. | 2021-06-20 |
![]() |
다음글 | 사랑에 빠지게 만드는 36가지 질문 | 2021-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