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산업카운슬러    

작성자    : 박현석 작성일 2015-07-01
제목 행복에 대한 학문 "긍정적 심리학"에서 배우는 행복감을 늘리는 힌트 조회수 2067
첨부파일  
첨부파일  

당신은, 인생의 행복과 사회적 성공 중에 어느 쪽을 우선시 하는가?

 

물론, 모두 손에 넣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우리는 종종 인생에서 어느 한쪽의 때문에 다른 한쪽을 희생해야 하는 큰 결딴을 내려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직업을 목표로 해야 할지, 큰 집을 사려고 교외로 이사해야 하는지, 또 하고 있는 일이 줄어드는 것을 각오하고 가족 행사에 참여해야 하는지와 같은 결단 등이다.

 

긍정적 심리학으로 알려진 학문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행동과 긍정적인 감정을 연구하는 것으로 어떤 요소가 사람의 행복도를 높이는지 찾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 결과로부터 우리의 행복감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해야 할 일에 대해서 재미있는 통찰을 얻을 수 있다.

 

“The Happiness Hypothesis”란 책에서 나온 내용이다. 행복연구에 대한 지식을 얻는데 굉장히 좋은 책이다.

 

수입이 오르면 행복하게 될까?

 

수입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에 의해, 일반적인 사람은 수입이 늘어나는 것과 행복감의 상관관계는 매우 미약하다는 것을 알았다. , 빈곤상태에 있는 사람은 예외다. 이 경우는 돈이 생김으로써 비로소 음식과 주거, 이동수단 같은 기본적인 필수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단 중류 정도의 신분이 되면 그 이상의 수입이 늘어나더라도 행복감을 늘어나는 효과는 거의 없다.

 

우리의 직감과 다른, 이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이 가능하다. , 우리는 새로운 상태에 즉시 적응해 버리는 것이다. 이것은 "적응의 원칙"이라고도 불린다. 어느 연구에 의하면 복권에 당첨된 1년 정도는 행복감이 높지만, 곧 기본적 행복도로 되돌아가 버린다고 한다. 비참한 억만 장자, 불행하지만 사업에서는 성공한 프로들의 이야기를 우리 모두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좋아하는 일을 택하지 않고 돈만을 중시하여 직업을 선택하는 것은 큰 잘못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진의 원칙

 

보람 있는 목표를 지향하는 것은 인생 시간을 어떻게 보낼지 생각하는 것과 같다. 사람들은 그 목표를 위해, 그것이 달성되었을 때의 기쁨을 상상하면서 몇 년의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그러나 긍정적 심리학에서의 "전진의 원칙"에 따르면 실제 목표를 달성했을 때보다 목표를 향해서 전진하고 있을 때 행복감을 더 느낀다고 한다. 이것은 목표를 향해서 전진하면 뇌에 있는 보수(報酬)계가 도파민을 분비한다는 구조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 유전자에게 바람직한 부와 권력획득으로 이어지는 행동을 뇌가 촉진함으로써 이런 일이 일어난다. 여행길이 목적지보다 중요하다는 격언도 있다. 또 셰익스피어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얻은 것은, 없이 끝내는 것. 즐거움은 계속 없는 채있는 것이다". 만약 당신이 "여행길"을 즐기고 있지 않다면 그것은 최고의 목표를 향하고 있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출퇴근 시간을 줄인다.

 

인생의 꿈이라고 하면 전통적으로 좋은 회사에 취직하고 교외에 큰 집을 산다는 등의 생각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큰 집에서 생활하는 것은 "적응의 원칙"이 해당되어 곧 익숙해지는 한편, 출퇴근 러시와 예측 불가능한 출퇴근에는 일반적으로 적응할 수 없다. 교통체증 속을 출퇴근하는 사람은 회사에 도착했을 무렵에는 혈중 스트레스 호르몬농도가 높아져 있다. 또 출퇴근은 삶에서 가장 불쾌한 활동 중의 하나라고 하는 보고도 있다. 직장근처에 산다는 선택은 그로인해 작은 집을 구입하게 되어 버린다고 해도 행복감을 극대화시킨다는 관점에서는 현명한 선택일지도 모른다.

 

인간관계의 중요성

 

행복을 위해 스스로 바꿀 수 있는 것 중에 가장 강력한 것은 인간관계이다. 인간관계의 질과 양이 상승하면 행복감에 큰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교회에 자주 가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평균적으로 더 행복하다거나, 결혼한 사람이 독신보다 평균적으로 더 행복했다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일로 잔업하기보다는 친한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냄으로써 보다 행복한 인생을 보낼 수 있다. 가진 돈의 용도를 고급 승용차나 액세서리 같은 사치품보다는,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즐길 수 있는 것, 예를 들어 레스토랑에서 외식이나 휴가를 보내는 편이 행복감에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플로 체험할 수 있는 것을 발견

 

심리학자인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씨는 무슨 활동에 열중한 나머지 시간이 흐르는 것도 잊어버리는 상태를 "플로(Flow)"라고 불렀다. 위에서 소개한 서적 “The Happiness Hypothesis”에서는 플로상태를 "적당히 어렵고, 꼭 자기 능력과 맞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는 상태, (Zone)에 들어 있다고 할 수 있는 상태"라고 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운동하는 것, 블로그에 기고하는 것 등, 자신이 플로상태에 들어갈 수 있는 활동을 발견하고 더 많은 시간을 그런 활동에 충당함으로써 보다 더 즐거운 일이나 인생을 보낼 수 있다.

 

행복의 연구는 행복하게 되기 위한 비밀을 알려 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행복감을 늘릴만한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연구결과는 항상 "세상 일반 사람"을 기준으로 삼고 있어서, 이것이 누구에게나 들어맞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행복연구에서 알 수 있는 것을 잘 이해하여 실생활에서 시험해 보면 당신에 맞는 "행복한 인생"으로 이어가는 결단이 설 수도 있을 것이다.

 


     이름  :   암호 :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