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소개
인사말
사명이념
헌장
CI소개
법인현황
조직도
연혁
부속기관
찾아오는길
산업카운슬링
산업카운슬링 인터뷰
산카양성(Training)사업
상담지원(Counseling)사업
Membership system
교육연수(Education)사업
Communication Program
산업카운슬링이란
산업카운슬러 양성
산업카운슬러 활동분야
산업카운슬링-기업유익성
산업카운슬링
산카아카데미
산업카운슬링사업단
사내고충처리상담
커리어·전직지원
인간관계지도
IC 공공 News
자격교육과정
산업카운슬러1급
산업카운슬러2급
산업카운슬러2급
산업카운슬러1급
기업연수과정
강좌일정 및 소개
월간일정
문의신청서
Counselling 프로그램[A]
멘탈헬스 전문 프로그램[B]
커리어컨설턴트 양성(C)
사내고충처리상담사
인간관계지도자
인사.노무고충상담 Skill-Up
Career컨설턴트[재취업전문가]양성과정
123
전문프로그램
사내고충처리상담사
커리어컨설턴트
인간관계지도자
통합심리분석사
상담·심리검사
상담(프로그램) 신청문의
산업카운슬링센터
산업카운슬러 활동
산업카운슬링[EAP]도입
EAP상담서비스 시스템
MSC멘탈헬스진단[소개]
MSC 멘탈헬스자기진단
오프라인 대면상담
온라인 전화상담
온라인 게시판상담
상담자료 제출방
전국산업카운슬링상담안내
개인상담신청
자격시험등록
공지사항
자격등록신청
자격종목.등급.검정절차
민간자격등록기관
자격심사원서
자격등록에 대하여
자격등록현황
등록회원보수교육일정
산업카운슬러 헌장
산업카운슬러윤리강령
회원커뮤니티
공지알림
뉴스레터
교육소식
자유게시판
FAQ
회원제도
해외연수(일본편)
IC 공공 News
교육일정
보수교육
회원갤러리
산업카운슬링대회
산업카운슬러아카데미 소개
2025 상반기 산업카운슬러 1,2급 과정
산카아카데미 양성.활동목적
산업카운슬러아카데미 교육특징
산카아카데미 수업교재
수업과제제출방(수강회원)
산업카운슬러 활동,역할에 대하여
산업카운슬링 용어해설
전문위원·상담사·강사 지원신청
HOME
산업카운슬러
글쓴이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시 필요합니다)
이메일
(예 : mail@mail.co.kr)
교육제목
최덕호님의 글입니다. ><P><STRONG><SPAN class="pcol1 itemSubjectBoldfont"><FONT color=#54359e size=4><SPAN style="FONT-SIZE: 12pt">사이버 상담의 이해 1</SPAN></FONT></SPAN><SPAN style="FONT-SIZE: 12pt"> </SPAN><SPAN class="cate pcol2" style="FONT-SIZE: 12pt"><IMG width=1 height=11 class="pcol2b fil3" alt="" src="http://blogimgs.naver.net/imgs/nblog/spc.gif"> <IMG width=105 height=1 alt="" src="http://blogimgs.naver.net/imgs/nblog/spc.gif"> </SPAN></STRONG></P> ><P class="date fil5 pcol2 _postAddDate"> </P> ><P class=url id=url_simple624_50001236279 style="FLOAT: right"><IMG width=21 height=13 title=http://blog.naver.com/simple624/50001236279 class="btn_urlcopy _setClipboard" id=copyBtn_simple624_50001236279 alt=복사 src="http://blogimgs.naver.net/nblog/btn_urlcopy.gif"> <A class="fil5 pcol2" href="http://blog.naver.com/simple624/50001236279" target=_top><FONT color=#000000>http://blog.naver.com/simple624/50001236279</FONT></A> </P> ><DIV class=btn_post_v> </DIV> ><DIV class="post-view pcol2 _param(1)" id=post-view50001236279> ><DIV align=justify> ><TABLE width=546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style="HEIGHT: 18px"> ><TD style="HEIGHT: 18px" colSpan=2> ><DIV align=left> ><TABLE width="100%"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TBODY> ><TR style="HEIGHT: 18px"> ><TD width=486 height=133 style="HEIGHT: 18px"> ><P align=right><SPAN style="FONT-SIZE: 9pt"></SPAN> </P></TD></TR></TBODY></TABLE></DIV> ><P align=right><SPAN style="FONT-SIZE: 9pt">이윤주 박사 </SPAN></P></TD></TR> ><TR style="HEIGHT: 18px"> ><TD width=17 style="HEIGHT: 18px"></TD> ><TD width=537 style="HEIGHT: 18px">필자가 처음으로 온라인을 접한 것이 1993년 여름이었다. 온라인 상담을 처음 시작한 것은 1994년 여름이었다. 그로부터 아직 10년이 채 못된 이 시점에 이렇게 사이버 상담이 활성화될 것이라고는 그 시절에는 전혀 꿈에서조차도 상상해 본 적이 없었다. 그런데 사이버 상담은 필자의 상상을 초월할만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사이버 상담이 앞으로 또 얼마나 활발해질지는 기대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이버 상담이 어떤 역사를 가지고 흘러왔는지, 사이버 상담이 무엇인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정리해 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 될 것 같다. <BR><BR><B>(1). 사이버 상담의 역사와 전망 </B> ><P> </P> ><P>1. 21세기와 정보화(컴퓨터 사용의 대중화, 필요성) </P> ><P><BR>현재의 사회는 지식 사회 혹은 정보화사회라고 한다. 21세기는 현재의 추세를 이어 우리 사회를 더한층 발전된 정보화사회로 이끌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지식사회, 정보화사회란 지식이 생산 및 가치창출의 결정적 요소로, 경제혁신의 원천이 되는 사회를 의미한다. 정부 역시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고 선진국으로 발돋움해 가기 위해 지난 98년 8월 15일 정부수립 50주년을 맞아 `제2의 건국`을 선언하면서 국정과제의 하나로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의 건설`을 주창한 바 있다. </P> ><P> </P> ><P>이러한 지식사회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전 국민이 `지식을 잘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능동적으로 창출`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과 전망에는 컴퓨터의 사용이라는 문제가 연결되어 있다. 일부 소수에게만 활용되던 크고 값비싼 소수의 컴퓨터가 4-50년의 진화과정을 거치면서 이제는 작고 싼 가격으로 발전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전화나 텔레비전과 같은 필수품으로 각 가정과 산업현장과 교육현장에 자리잡고 있다. 이제 점점 더 많은 청소년들이 컴퓨터로 공부하고 컴퓨터로 놀고 컴퓨터로 대화한다. 더욱이 이제는 각 개인컴퓨터(PC)는 고립적으로 각각 사용되기보다 모뎀이나 전용회선을 통해 pc통신과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이러한 네트웍을 활용하여 함께 공부하고 함께 놀고 함께 대화하게 되었다. <BR><BR>2. 통신의 발전(인터넷, 멀티미디어 사용의 증가, 일반화) <BR><BR>1960년대 말부터 70년대 초에 걸쳐 학문과 연구도구로 개발된 인터넷은 이후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범세계적 자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98년 1월 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 컴퓨터의 수는 세계적으로 약 3천대에 이르렀고 이용자수는 약 3억명에 달하였다. 국내외 인터넷 전문가들에 의하면 현재 한국의 인터넷 활용인구 및 성장속도는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쳔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 3위로 평가된다. 국내의 인터넷 이용자는 2002년까지 연평균 51%씩 증가해 기존 전화수요에 육박하는 1천200만명에 가깝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BR><BR>컴퓨터에 모뎀을 장착하여 전화선을 통해 컴퓨터 통신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최근 모뎀 속도의 향상과 전용회선의 속도에 버금가는 고속 통신을 보장하는 ISDN, ADSL등을 선택하여 빠른 속도의 인터넷 항해가 가능해졌다. 인터넷에 탑재된 정보가 끊임 없이 증가하고 텍스트 정보에 비해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멀티미디어 자료의 상대적인 증가로 인해 통신속도에 대한 우려가 있으나 이러한 우려는 향후 초고속 통신 고속도로 건설, 광통신망 설비 등에 의해 해결될 수 있으리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BR><BR>또한 현재 노트북이나 휴대 전화단말기를 통한 무선 인터넷도 가능해졌으며 이러한 무선 컴퓨터 통신의 속도 또한 점차 빨라질 것이며 이에 따라 이러한 무선 컴퓨터 통신의 이용자 또한 급증하여 조만간 무선 컴퓨터 통신이 대중화될 전망이다. <BR><BR>3. 사이버 상담의 등장 <BR><BR>1960년대 말, 상담 영역에 컴퓨터가 들어서기 시작한 이후 컴퓨터를 활용한 상담은 초기 단계에서는 비교적 천천히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 연구자들은 컴퓨터를 각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 병원, 지역사회공동체를 하나의 네트웍으로 연결하여 전문가들 간의 교류에 활용할 것으로 제안하였는데 이러한 방향은 엄밀한 의미에서 사이버 상담의 시작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70년대 말이 되면서 온라인 상담, 온라인 진단 등 컴퓨터통신을 매개로 한 상담방법들에 대한 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들 역시 컴퓨터를 매개로 한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기울이기보다는 상담자 혹은 내담자와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에 주된 관심을 둔 것이라는 제한점이 있지만 주목할 만한 점은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내담자들이 상담자라는 실제 사람과 대면했을 때보다 컴퓨터 화면 앞에서 자신을 더 솔직하게 거리낌 없이 표현할 수 있었다는 것을 밝힌 것이었다. <BR><BR>결국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컴퓨터가 상담자와 내담자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하였다. 이제 내담자들은 컴퓨터를 통해 진단 및 평가를 받는 것이 가능해졌고 상담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사이버 상담은 두 가지 방향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는데 그 첫 번째 방향은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내담자들이 상담자와의 상호작용 없이 컴퓨터 프로그램과만 상호작용하면서 상담을 받는 무인상담 시스템이었다. 이러한 형태의 프로그램은 적은 수의 상담자가 많은 사람들에게 손쉽게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이러한 프로그램화된 상담의 제한점은 여러 유형의 문제를 함께 가진 내담자의 경우 깊이 있는 도움을 받기 어렵다는 점이다. 두 번째 발전방향은 보다 진보된 것으로서 컴퓨터통신을 매개로 상담자와 내담자가 원격으로 상담 상호작용을 하도록 되어 전통적인 대면 상담의 효과와 유사한 상담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90년대 들어서 컴퓨터 통신과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사이버 상담의 수요자도 급증하였고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사이버 상담 서비스의 제공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BR><BR>국내의 경우 1987년 한국경제신문사가 `KETEL`을 개설하면서 컴퓨터통신이 시작되어 인터넷에 앞서 컴퓨터 네트웍을 형성하였고 이후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여 왔고 이에 인터넷이 가세하면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엄청난 성장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국내 사이버상담실의 대표적 운영사례는 1991년 사설 BBS로 시작된 등대, 1993년에 개설된 사랑의 전화를 필두로 현재 총 30여개의 상담기관이나 단체가 컴퓨터 통신 혹은 인터넷을 통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자세한 현황은 다음 장에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BR><BR>4. 사이버 상담의 전망 <BR><BR>① 통신 환경 및 기술, 설비의 발전 <BR><BR>컴퓨터의 발전은 퍼스널화, 멀티미디어화, 그리고 다운사이징의 추세로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로 급속히 발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휴대전화 단말기를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이미 시작되었고 앞으로는 휴대전화기처럼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면서도 pc나 노트북 정도 혹은 그이상의 대용량, 고속 통신이 가능한 정도의 다운사이징이 가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BR><BR>또한 21세기의 기술발전으로 화상통신과 음성 지원 등 각종 멀티미디어의 활용의 대중화가 실현되면 더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사이버 상담 서비스가 더욱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BR><BR>② 네트웍의 발전 <BR><BR>사이버 스페이스는 개인간의 연계와 그룹웨어가 가능한 cug, news group, user group 형태의 발전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네트웍의 발전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사이버 상담 서비스는 개별 기관, 단체의 서비스가 각각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용자 편의 네트웍의 발전과 함께, 사이버 상담 서비스 제공기관의 발전으로 이들 상담서비스 간의 링크도 점차로 확장발전해 가고 있다. 따라서 각 개별 기관 및 단체의 단독 서비스의 운영과 함께 이들 서비스를 분류하고 묶어 주면서 각 서비스의 내용을 설명하고 안내해 주는 포탈 서비스가 발전하게 될 것이다.<BR><BR>③ 보다 많은 이용자들에 대한 서비스 <BR><BR>컴퓨터 통신 및 인터넷 이용자 수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사이버 상담 서비스의 이용자 수의 증가를 예측하게 한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사이버 상담에 대한 선호와 이용도는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수요의 증가에 발맞추어 사이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및 단체도 늘어날 것을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BR><BR>인터넷 및 컴퓨터 통신 이용자 층의 증가가 특히 아동 및 청소년 연령대에서 두드러진다는 점과 함께 내담자 주도성 및 자발성, 익명성, 시공간적 제한으로부터의 자유 등의 사이버 상담의 특성은 청소년 이용자들의 특성과 잘 부합하므로 청소년 이용자의 사이버 상담 이용은 앞으로도 한동안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추후 사이버 상담은 특히 청소년 이용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도움을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BR><BR>④ 상담의 대중화 <BR><BR>과거에 비해 상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많이 변화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는 한국 청소년상담원의설립과 내실있는 운영과 함께 각 시도청소년종합상담실, 각 시군구 청소년상담실의 설립 및 운영, 여러 전문영역 상담전문가들의 개업 등으로 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긍정적으로 개선될 수 있었다. 이제 많은 사람들이 상담에 대해서, 문제가 있는 소수인들을 위한 치료 및 교정이라는 개념에서 대다수 정상적인 사람들의 생활상의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적 도움, 발달단계상의 과업 달성을 돕는 성장발달과 예방 차원의 개념으로 인식을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식 전환은 상담의 대중화를 가져오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사이버 상담에 대한 인식의 전환 및 대중화에도 기여한 바가 적지 않다.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BR><BR>또한 사이버 상담을 이용하는 이들의 상담 서비스 수혜 경험은 이들로 하여금 상담 일반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하도록 영향을 주어, 사이버 상담의 발전이 전체 상담 일반의 대중화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BR><BR>⑤ 사이버 상담 전문가 및 전문 기관의 증가 및 발전 <BR><BR>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설 BBS 등대 그리고 사랑의전화 PC 상담실의 등장과 발전으로 시작된 국내 사이버 상담은 한국청소년상담원의 사이버상담센터, 각 시도 및 시군구 청소년상담실의 PC 상담실의 개설로 이어졌고 대기업인 삼성의 출자와 서울대 사범대 교육학과 상담전공자들을 인력으로 하여 설립, 운영되고 있는 사이버 스쿨 상담방, 기타 여러 민간업체 및 개인의 참여로 개설된 각종 상담서비스 기관의 개설, 운영으로 이어졌다. 사이버 상담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이러한 사이버 상담 사이트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BR><BR>또한 이러한 현상에 대한 상담 연구가 시작되어 적지만 학위논문과 학회지 논문으로 연구의 산물이 발표되고 있고 앞으로 사이버 상담 현상의 발전과 더불어 연구 역시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BR><BR>한편 사이버상담 서비스 기관은 개설후 계속적으로 확장, 발전하는 면모를 보이며 유지되는 곳도 있지만 개설후 이렇다할 발전과 DB 구축을 못하며 겨우 명맥만 유지하거나 아예 문을 닫는 곳도 적지 않은 등 각 서비스 기관의 개설 후의 운영 및 유지와 관련된 결과적인 모습은 상당히 다양하다. 이중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계속 유지되어 대표적인 사이버 상담 서비스로 자리잡아 가는 사이트의 경우 사이버상담을 위한 별도의 예산집행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유로는, 사이버상담을 위한 환경 구축에 소요되는 예산과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상당한 정도의 비용이 필요하며 이후 지속적인 상담 서비스 제공과 DB 업데이터 및 새로운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그리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인력에 소요되는 예산 문제가 가장 크다고 하겠다. <BR><BR>이렇게 볼 때, 상담 서비스간 네트웍 형성과 친절한 소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서는 이윤에 의해 지배되는, 시장경제 속에 있는 재정이 아닌 국민복지 차원의 공적인 재정의 수립과 투입에 의한 운영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한국청소년상담원은 이러한 차원에서 볼 때,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대표적 서비스 기관으로 안정적인 궤도에 들어섰다고 보이며 계속적인 정부의 관심과 재정 투입이 보장된다면 앞으로의 전망 역시 낙관적이라 사료된다.. </P> ><P><STRONG style="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PADDING-LEFT: 0px; PADDING-RIGHT: 7px">[출처]</STRONG> <A href="http://blog.naver.com/simple624/50001236279" target=_blank>사이버 상담의 이해 1</A> ><P> </P></TD></TR></TBODY></TABLE></DIV></DIV> ><P> </P>